본문 바로가기

생활&과학

(47)
에디슨이 축음기를 발명한 이유 1. 브리콜라주 남미의 마토 그로소Mato Grosso 원주민들은 정글 속을 걷다가 무언가를 발견하면 어디에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언젠가 무언가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해 물건을 자루에 주워 넣어 보관하는 관습이 있음. 실제로 그들이 주운 물건이 나중에 공동체를 위기에서 구한 일도 있기에, 나중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는 예측 능력이 공동사회의 존속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침. 이 신기한 능력, 즉 주변에서 발견하는 뭔지 모르는 물건을 만약을 위해 수집해 두었다가 여차할 때 요긴하게 활용하는 능력을 인류학자이자 구조주의 철학의 시조로 불리는 레비스트로스는 '브리콜라주bricolage'라고 명명하고, 근대적이고 예정조화적인 도구의 조성(용도와 시장을 명확히 하고 개발에 착수하는 사고관)과 대비해 고..
현명하게 아이를 키우는 방법 1. 따지는 아이를 존중해야 한다 우선 따지고 드는 아이를 존중해야 한다. 공정성fairness에 대한 인식이 일찍 발달하는 아이일수록 지적 재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사회성은 가장 높이 발달한 생물학적 재능이다. 끝없이 "왜?"를 쏟아내는 아이를 억압해서는 안된다. 더 창의적인 아이들은 덜 창의적인 아이들보다 부모를 더 힘들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을 견디지 못하고 기존의 규범으로 길들이면 아이는 호기심을 버리고 창의적이기를 그만둔다. 최악의 훈육 방법은 아이를 때리는 것이다. 폭력은 어떤 것이든 정서 발달을 왜곡한다. 승복할 수 없는 폭력에 어쩔 수 없이 굴복하는 경험은 소통과 공감 능력 발달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2. 제대로 된 언어로 대화해야 한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제대로 된 언어로 대화하..
열 받으면 무조건 지는 거다 1. A 유형의 인간 우리 사회에는 '욱'하면 사소한 일에 목숨 거는 사람이 아주 많음. 'A유형A-type'이라는 불리는 인간들임. 혈액형이 아님. 1950년대 미국 심장 전문의였던 마이어 프리드먼Meyer Friedman은 유난히 성격이 급하고, 아주 사소한 일에도 화를 자주 내며, 스트레스를 잘 받는 사람들을 가리켜 'A유형'이라고 이름을 붙였음. 그가 이런 유형의 사람들을 발견한 이유는 우연이었는데, 자신의 병원 대기실 의자가 계속 망가져서 가구업자에게 수리를 부탁했음. 그런데 가구업자는 그 병원 의자가 특이하다고 했는데, 보통은 의자의 등받이쪽이 헐어 있는데, 그 병원은 손잡이와 의자 앞쪽 천이 헐어 있다는 것. 프리드먼은 자신의 병원 환자들이 특이하게 앉는다는 것을 깨달았음. 그들 대부분은 의..
수은은 매독의 치료제였다 1. 매독 치료제수은은 비단 중국에서만 귀한 의약품으로 대접받은 것은 아니었음.16세기 무렵부터 수백 년 동안 수은은 매독 치료제로 널리 사용됨.당대의 사람들은 왜 수은을 특효를 지닌 의약품으로 받아들였을까?우선 수은의 희귀한 외관에서 찾을 수 있음.'은색으로 빛나는 액체'라는 독특한 외적 특성 덕분에 수은이 신비한 힘과 약효를 지녔다는 잘못된 믿음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음.또다른 이유는 수은은 끔찍하고 위험한 물질이지만 긍정적인 효능도 지니고 있음.그 중 하나가 '살균 효과'인데, 옴과 같은 피부병에는 실제로 탁월한 효과를 발휘.16세기 이후 수백 년 동안 사람들이 수은을 매독 치료제가 사용한 데에는 바로 '살균 효과'에 대한 과도한 신뢰가 있었다고 볼 수 있음.그들은 수은을 연고로 만들어 살갗에 바르..
와인 상자에 관한 오해 1. 미국의 참나무통 와인 상자 이야기를 하니 와인을 숙성하는 참나무통oak barrel 나무 이야기가 이어짐. 종교의 자유를 찾아 영국에서 신대륙으로 이주한 미국의 선조들이 가장 먼저 시작한 제조업은 참나무통을 만드는 것. 그들이 도착한 미국 동북부 지역은 광활한 땅에 빽빽한 참나무 대륙이었음. 이미 17세기 초부터 미국은 참나무통과 목재를 유럽 대륙으로 수출했음. 그런데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산 참나무통에 와인을 숙성하는 와이너리가 늘어나자 프랑스의 보수적인 와인협회에서 소동이 남. 프랑스 와인이 미국 참나무 통에서 숙성된다는 소식은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도 뜨거운 논란거리가 됨. 같은 참나무지만 프랑스산 참나무통이 미국산보다 두 배 가량 비쌈. 2. 나무에 따라 달라지는 와인의 향 그러면 와인은 ..
세상에서 가장 비싼 나무는 뭘까? 1. 값 비싼 나무 중국의 속설과 미신이 한국과 일본의 정서에 깊숙이 자리하여 흑단, 자단, 장미목이라 불리는 목재는 모두 천정부지 가격에 거래됨. 진귀한 흑단, 장미목에 대한 중국 수요가 폭증하며 이제는 국제시장에서 부르는 게 값인 나무가 되었음. 그러나 멸종 위기에 있는 흑단과 장미목은 국제적으로 벌채도 유통도 금지된 나무. 이런 나무들은 사지도 팔지도 않는 것이 세계인의 양식. 그런데 심각한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소수의 목재상이 '물에 가라앉는 나무', '썩지 않는 나무'라고 홍보하며 버젓이 유통하고 있다는 사실. 이런 목재상들의 설명은 근거 없는 것이거나 불법 벌채해 들어온 것이 대부분. 2. 나무의 연금술 그런데 최근 독일에서 목재 엔지니어링 일대 혁명이 시작. 슈드하르츠의 작은 제재소에서 세계 ..
디터 람스의 좋은 디자인이란? 독일의 산업 디자이너인 디터 람스. 브라운 사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그는 미니멀리즘이 강조된 제품을 디자인했음. 디터가 만든 제품들의 디자인은 시대를 타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음. 심지어 애플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조너선 아이브너가 그를 두고 “애플 디자인 영감의 원천이자 나의 롤모델”이라고 말하기도 했음. 디터 람스의 좋은 디자인 10원칙 1. Good design is innovative. 좋은 디자인은 혁신적이다. 2. Good design makes a product useful.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유용하게 한다. 3. Good design is aesthetic. 좋은 디자인은 심미적이다. 4. Good design makes a product understandable.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이..
영어를 공부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들 1. 서로 다른 문화와 사고 방식 한국인과 영어권 서양인이 서로의 언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서로의 문화와 사고 방식 또한 부분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한국인이 영어에 대해 알아야 할 중요한 사실이 있다. 영어는 주어가 중심이 되는 동사 기반의 언어란 점이다. 영어 문장이 '주어-동사-목적어' 형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한국인도 대부분 알 것이다. 좀 더 간단하게 '주어-동사'로 만들 수도 있다. I do, She looks처럼. 동사에는 주어가 꼭 있어야 한다. 주어도 동사가 없으면 길을 잃는다. 영어 사용자들은 문법적으로 주어를 꼭 만들어야만 한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주어 없이도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밥 먹었어?' 같은 식이다. 한국어에서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