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혹시 나는 디지털치매가 아닐까?

반응형

디지털치매 체크리스트

1. 외우는 번호가 회사 번호와 집 번호 뿐이다

2. 전날 먹은 메뉴가 생각나지 않는다

3. 주변 사람과 대화 중 80%는 이메일로 한다

4. 계산서에 서명할 때 빼고는 거의 손으로 글씨를 쓰지 않는다

5. 처음 만났다고 생각한 사람이 전에 만났던 사람인 적이 있다

6. 자꾸 같은 얘기를 한다는 지적을 받은 적이 있다

7.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를 장착한 뒤 지도를 보지 않는다

8. 몇 년째 사용하고 있는 집 전화번호가 갑자기 떠오르지 않은 적이 있다

9. 아는 한자나 영어 단어가 기억나지 않은 적이 있다

10. 애창곡의 가사를 보지 않으면 노래를 부를 수 없다



위 디지털치매를 진단하는 항목 대부분이 기억력 중심임.

지금은 웬만한 정보는 바로 검색해 찾아보기 때문에 외울 필요도 없고,

다음에 필요하면 그때 다시 검색하면 됨.

컴퓨터가 내 손에 있기 때문에 접근할 수 있는 대부분의 정보를

이젠 외울 필요가 없는 상황이므로, 중요한 변화임.



인터넷 때문에 기억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은 맞지만,

인터넷과 스마트기기 때문에 우리가 전보다 뇌를 적게 쓴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 없음.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뇌를 쓰고 있을 뿐,

예전보다 뇌를 적게 써서 바보가 되거나 인지기능이 떨어진 것은 아님.



예전에는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저장하는

대뇌 안쪽 측두엽 근처 해마(hippocampus)라는 영역을 많이 사용했을 것이고,

현대사회에서는 전두엽, 즉 정보를 빠르게 스캐닝하고 필요한 정보가 뭔지 찾아서

결합하고 신속하게 맥락을 이해하는 영역을 더 많이 쓰는 방식으로 바뀌었음.

뇌를 쓰는 방식이 바뀌면 뇌 구조도 달라지며, 이것을 뇌 가소성(neural plasticity)라고 함.



새로운 사고방식, 검색과 편집, 정보의 결합, 빠른 스캔을 위해서는

그에 적절하게 뇌 구조가 바뀌어야 하고 실제로 그렇게 바뀌고 있음.

반응형